TIL/6주차
노드 숙련 수업
tnals634
2023. 6. 20. 21:10
수업을 따라 진행하는 와중 강의에서는 statuse가 200번인 방면 저는 304번이라 왜 다른가 싶어 찾아보았습니다.
찾아보니 제가 잘못한게 아니라 해당 요청이 변경되지않으면 알아서 저장되있는 캐시를 보여주라는 거였습니다.
설정이 많은거 같아서 정리를 했습니다.
#npm 먼저 설치
npm init -y
#express, sequelize, mysql2, cookie-parser, jsonwebtoken 라이브러리 설치
npm install express sequelize mysql2 cookie-parser jsonwebtoken
#sequelize-cli, nodemon 라이브러리를 DevDependency로 설치
npm install -D sequelize-cli nodemon
#설치한 sequelize를 초기화하여 sequelize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생성
npx sequelize init
#config/config.json의 database에 설정된 이름으로 db를 생성
npx sequelize db:create
#아래 사진 참조
#migrations 폴더에 posts생성
npx sequelize model:generate --name Posts --attributes title:string,content:string,password:string
# migrations 폴더에 정의된 migration 파일들과 MySQL의 테이블을 맵핑시킵니다.
npx sequelize db:migrate
#최근에 만든 테이블을 수정한 뒤 다시 생성하기
# 가장 최근에 실행한 db:migrate를 취소합니다
npx sequelize db:migrate:undo
# migrations 폴더에 존재하는 migration 파일을 기반으로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npx sequelize db:migrate
#nodemon 실행
npx nodemon 실행할 파일(app.js)
nodemon은 우리가 node app.js를 실행하면 매 코드가 수정될때마다 껏다켰다를 반복해야하는것을 줄여준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