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대 숙제
인덱스 저장 공간을 왜 B+ 트리 기반으로 구현하는지 조사해서 제출
내 대답 : 인덱스는 이진탐색트리도 있지만 이경우는 한곳으로만 쏠릴경우 탐색 시간이 O(N)으로 이진탐색 장점을 가졌다고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보완한 트리중 b-tree가 있습니다. 하지만 b-tree는 순차탐색시 모든 트리를 들려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이 순차탐색을 보완하기위해 b+tree가 나왔습니다.
데이터는 left-node에만 있어서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고, left-node는 링크드리스트로 연결되어있고 오름순으로 정렬되어있어 순차탐색시 효율적입니다.
오늘 제출할 선발대 숙제를 마저 정리를 한 후 제출했습니다.
그뒤로 수업을 듣는데 정영훈튜터님께서 aws에 대해 알려주신다고 하셔서 가서 들으며 직접 확인해보고자 aws에 들어가보았습니다.
알고보니 제가 여태 iam으로 작업을 하고 있었고, 그래서 iam으로 작업한 다른 모든것들을 지우고 다시 root에서 작업을 하려고 확인중이었습니다. 그리고 root에 다시 로그인 뒤 청구서를 보았지만 다행히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았고, 5개나 떠있다는것을 확인 후 찾아보고 있었습니다.
수업을 완강하였으나 간단히 들으며 넘긴거라 한번 더 짚어보고자 복습을 할겁니다.
선발대 수업에서 서비스에 관해 들었습니다.
먼저 저희가 사용하고 있는 슬랙에 관해서 기능을 톺아(꼼꼼하게 살펴보기)보기로 하였습니다.
많은 기능 중 전 대략적인 기능들만 써내려갔고, 튜터님이 보여주신 기능들 중에서도 회원가입,탈퇴, 워크스페이스, 생성자,관리자,멤버,블랙리스트들만 추려내서 해당 하는 기능들의 erd를 그리게 되었습니다.
막상 그리려니 생각이 나지 않아 감이 잘 잡히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튜터님이 그리신 erd를 보며 설명을 들으니 이해는 갔습니다.
그래도 수업 중간중간에 잘 몰랐던 부분들도 있어서 일단 검색을 해놓았습니다.
lv4 숙제는 내일부터 해보려고합니다.
검색 자료
'TIL > 8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_lv4 과제 (0) | 2023.07.08 |
---|---|
nodejs_lv4 과제 (0) | 2023.07.07 |
노드 심화 강의 (0) | 2023.07.05 |
노드 심화 강의 자료 수업 (0) | 2023.07.04 |
선발대 과제 인덱스 b-tree, b+tree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