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_lv4 과제 어제 테이블을 늘렸지만 다시한번 오늘 생각해보니 post 테이블에 likes 컬럼을 넣으면 굳이 테이블을 늘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테이블들을 다시 정리 이후 수정해서 다시 만들었습니다. 좋아요 게시글 조회까지 되었고, 그로 인해 게시글 좋아요 api를 수정을 좀 했습니다. 그에 따라 erd 다이어그램도 수정을 해줬습니다. 참고자료 findAll, find 등 관련 자료 TIL/8주차 2023.07.08
nodejs_lv4 과제 https://drawsql.app/teams/sumins-team/diagrams/lv-4 lv_4 | DrawSQL Database schema diagram for lv_4. drawsql.app 일단 erd 그림은 이렇게 작성하였고, 현재 db설정 이후 모델관계설정 중입니다. api 명세서도 작성하였습니다. api 명세서 댓글 기능을 작성하는 중 계속 오류가나서 하나하나 확인을 해보니 nickname이 빠졌다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db 변경 후 erd 도 다시그렸습니다. 그리고 게시글 좋아요까지는 작성하였으나 좋아요가 있는 게시글 조회는 되지 않아 확인해보니 위에서 게시글 상세조회일때 posts/:post_id가 있어서 제일 밑에 있는 /posts/like가 like가 post의 id값으로 .. TIL/8주차 2023.07.07
실시간 수업, 심화수업 선발대 숙제 인덱스 저장 공간을 왜 B+ 트리 기반으로 구현하는지 조사해서 제출 내 대답 : 인덱스는 이진탐색트리도 있지만 이경우는 한곳으로만 쏠릴경우 탐색 시간이 O(N)으로 이진탐색 장점을 가졌다고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보완한 트리중 b-tree가 있습니다. 하지만 b-tree는 순차탐색시 모든 트리를 들려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이 순차탐색을 보완하기위해 b+tree가 나왔습니다. 데이터는 left-node에만 있어서 메모리를 확보할 수 있고, left-node는 링크드리스트로 연결되어있고 오름순으로 정렬되어있어 순차탐색시 효율적입니다. 오늘 제출할 선발대 숙제를 마저 정리를 한 후 제출했습니다. 그뒤로 수업을 듣는데 정영훈튜터님께서 aws에 대해 알려주신다고 하셔서 가서.. TIL/8주차 2023.07.06
노드 심화 강의 오전에는 1-12, 13까지는 듣고, 13이 길어서 점심이후에 이어서 17까지는 들으려하고 저녁시간이후에는 마저 다 듣는것이 목표입니다. 그래서 내일부터 과제를 할 수 있게 만들려고 합니다. 수업을 듣는 와중 12강에서 mysql rds와 연결을 하려는데 오류가 생겨 이것저것 찾아보다 권한이 주어지지않았다는 오류라는 것을 알게되었고 어떻게 하나 싶어 고민하다가 혹시 비밀번호가 잘못되었나 싶어 다시 수정을 해보니 되지않았습니다. 하지만 알고보니 비밀번호에 특수문자가 섞여있었고 다시 작성을 하니 잘 연결 되었습니다. 수업을 진행하는데 1-13강의인 객체지향 수업에서 typescript를 사용하시는데 어떻게 설정을 하고 사용하는지는 안나와서 설정을 하지못해 오류가 계속나와 직접 테스트해보지는 못했습니다. 오버.. TIL/8주차 2023.07.05
노드 심화 강의 자료 수업 오늘 부터는 팀도 변경이되서 팀원들과 인사를 나누고, tmi를 작성해서 제출후 강의를 들으려했지만 강의가 저번기수꺼여서 확인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린다고하여 선발대에서 튜터님이 내주신 과제를 확인하고 공부하고있었습니다. 다행히 일찍 수업자료를 다시 발급해주셔서 수업을 들었습니다. TIL/8주차 2023.07.04
선발대 과제 인덱스 b-tree, b+tree b-tree -한 데이터의 검색은 효율적이나, 모든 데이터를 한번 순회하는데 모든 노드를 방문해야하므로 비효율적이다. b+tree : 인덱스 컬럼은 부등호를 이용한 순차 검색 연산이 자주 발생해서 사용 - 위 b-tree의 단점을 개서니킨 자료구조 - left node를 제외하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아 메모리 확보, 따라서 하나의 노드에 더 많은 포인터를 가질 수 있어 트리높이가 낮아져 검색 속도 향상 - left node끼리 linked list로 연결되어있어 모든 노드 스캔시 시간 절약 - 반드시 특정 키에 접근하기 위해 left node까지 가야하는 단점 인덱스에 b+tree를 사용하는 이유는 트리의 모양이 항상 균형을 맞춰야하기 때문에 다른 트리보다 높이가 낮아지고 자식들의 밸런스를 잘 유지하면 .. TIL/8주차 2023.07.04
팀프로젝트 마무리 팀프로젝트를 최종적으로 마무리를 하였고, 다행히 잘 작동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팀원분들이 다들 고생이 많으셨고, 처음에는 다들 프론트앤드까지 가능할지 의문을 가졌지만 다들 자신의 역할을 최선을 다했기때문에 만들어졌습니다. 시간은 많이 촉박했어서 주말도 같이 불태우며 만들어서 많이 친해졌고, 같이 계속 회의를 하니 서로 어느정도 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해서 작업하는데 수월했습니다. 프로젝트 발표 이후 좀 쉬고 나서 팀원분들과 같이 KPTF를 작성하고 강의가 들어온것을 확인했습니다. 시연영상은 저희가 시간이 촉박하여 내용이 부적절합니다..ㅎㅎ 시연영상 그리고 KTPF 는 주승님의 티스토리에서 작업하였습니다. B-4조 노력하는사이다 KTPF 4조 newsFeed 프로젝트 KPTF 회고 1. 한 주의 흐름 1) 한.. TIL/8주차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