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43

12. 배열 1

1. 생성 2. 접근 3. 배열 메소드 3-1. push 배열.push(넣고 싶은 값) 3-2. pop 배열.pop(); //제일 뒤값 빼줌 3-3. shift 배열.shift(); // 제일 앞에값 빼줌 3-4. unshift 배열.unshift(넣을 값); //제일 앞에 값을 넣어줌 3-5. splice 배열.splice(시작위치, 지울 갯수, 바꾸려는 값); //시작 위치부터 지울 갯수만큼 값을 변경 3-6. slice 배열.slice(시작위치, 마지막위치); //시작위치부터 마지막위치앞까지만 자름

JavaScript/1주차 2023.05.22

11. 객체

1. 객제 생성 방법 1-2는 일단 가볍게 보고 흘려넘겨라. 2. 접근하는 방법 1-1.의 기본 객체 생성에 접근 3. 객체 메소드 - keys : key를 가져오는 메소드 / 키만 가져와서 배열로 만듦 4. values : value를 가져오는 메소드 / 값만 가져와서 배열로 만듦 5. entries : 키와 값을 묶어서 배열로 만듦(2차원 배열) 6. assign - 객체 복사 7. 객체 비교 객체라는것은 크기가 상당히 크다. 그래서 별도의 공간에 주소를 저장한다. person1과 person2는 별도의 공간에 대한 주소. 서로 다른 주소를 가지고 있어 false가 나온다. json으로 객체를 string화 해서 직접 비교를 한다. 8. 객체 병합

JavaScript/1주차 2023.05.22

10. 조건문 중첩

1. 조건문 중첩 2. 조건부 실행 3. 3항 연산자 단축평가 4. falsh한 값, truthy한 값 //falsy 한 값, truthy한 값 //숫자도 ture, false를 해줄 수 있다. if(0) { //main logic console.log("1"); } if("") { //main logic console.log("2"); } if(null) { //main logic console.log("3"); } if(undefined) { //main logic console.log("4"); } if(NaN) { //main logic console.log("5"); } if(false) { //main logic console.log("6"); } if(true) { //main logic c..

JavaScript/1주차 2023.05.22

9. 조건문

조건문 - if, else if, else , switch 1. if문 조건 - true 또는 false가 나올 수 있는 조건 // 1. if문 let x = 10; //1-1. if(x > 0) { //main 로직 console.log("x는 양수입니다."); } //1-2. let y = "hello world!"; // y의 길이가 5보다 크거나 같으면 길이를 출력 if(y.length >= 5){ console.log(y.length); } 결과 : 12 2. if - else문 // 2. if - else 문 let x = 10; if (x > 0) { //main logic #1 console.log("x는 양수이다."); }else { //main logic #2 console.log("x..

JavaScript/1주차 2023.05.22